
챗GPT 활용한 뉴스 분석 의 수준은 어느 정도 일까요? 우리는 뉴스 홍수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공중파, 지상파, 종편 TV에서 부터 수십개의 신문사가 경쟁적으로 솟아 내는 뉴스가 매일매일 넘쳐 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거기다 유튜브나 SNS에 재 생산 되어 퍼지는 뉴스까지 더하면 어떤 한 가지 이슈에 대해서 다양한 뉴스가 생산되고 있습니다.
이런 저런 시각과 관점에서 생산 되는 뉴스들을 보자면 뉴스의 기본인 사실과 기본이 무엇인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인공지능을 사용하면 누구의 시각이 아닌 객관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인공지능이 전달해 주는 뉴스 분석이 도움이 됩니다.
이 글에서는 챗GPT를 활용한 뉴스 분석의 장점과 챗GPT 활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특히, 최근 한국 사회에서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채상병 순국 사건을 대상으로 챗GPT를 활용하여 뉴스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챗GPT 활용한 뉴스 분석 장점
챗GPT 활용한 뉴스 분석의 장점은 내가 인터넷 상에 관련된 모든 뉴스를 다 일일이 읽어 보지 않아도 챗GPT가 인터넷 상에 있는 관련 뉴스 데이터를 크롤링 해서 정리해 일목요연하게 알려 준다는 겁니다.
인공지능은 자기의 주장이 아니라 인터넷 상에 있는 데이터를 중심으로 뉴스를 정리해 주기 때문에 현재 뉴스 발생의 빈도나 여론의 흐름을 잘 표현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채사병 해병의 순직 사건이 사회적 큰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사회, 정치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지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도대체 이 같은 사건이 왜 발생하게 된 건지 궁금할 겁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챗GPT에게 질문을 했습니다.

챗GPT의 답변은 “여단장의 지침 위반이 채상병 사망과 직접적인 인과 관계가 있다.” 고 알려 주네요.
또한 수사의 투명성과 군 내부의 체계적인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고 내용을 정리해 주고 있습니다.
2. 챗GPT활용한 뉴스 분석 심화
챗GPT가 알려준 원인인 여단장의 위반한 군내부의 규정과 지침이 궁금해집니다. 그래서 꼬리에 꼬리를 묻는 방식으로 아래와 같이 질문을 이어갔습니다.

수색 작업 시 안전 지침을 준수해야 하는데 그렇게 지시하지 않았다는 것이 요지라고 알려주네요.
또한 군 내부의 수사 과정에서 특정 지시나 외압 없이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해서 사건이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다시 꼬리에 무는 질문을 이어가 봤습니다.
” 이 사건과 관련하여 군의 내부 조사 및 수사과정의 투명성과 적절성에서 문제가 드러났는데 이 부분을 구체적으로 알려 달라고” 요청해 봤습니다.

수사의 독립성 문제, 수사 결과의 재검토와 이첩 문제, 투명성 부족이 문제점이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3. 챗GPT활용한 뉴스 분석 방법
챗GPT가 정리해 준 데로 라면 박정훈 대령은 원칙데로 일을 수행했는데 왜 군검찰이 박정훈 대령을 기소했는지가 궁금해 집니다.
그래서 다시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아래와 같이 질문을 해보았습니다.

챗GPT도 “박정훈 대령은 원칙에 따라 행동했습니다”라고 알려주고 그 출처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다만 경찰로 사건을 이첩 하지 말라는 상급자의 지시를 어겼고, 이것은 직권남용에 해당되기 때문에 박정훈 대령을 기소한 것이다라고 정리해 주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박정훈 대령이 경찰에 사건을 이첩한 것이 직권남용에 해당되는 건 지가 궁금해 아래와 같이 다시 꼬리를 무는 질문을 해봤습니다.

챗GPT는 수사의 독립성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볼 수 있고, 이는 일반적으로 법적으로 허용되는 행위라고 답을 해주고 있습니다.
직권남용에 해당되기 위해서는 “직무 행위의 주된 목적이 사적 이익 추구나 불법 목적 실현 등에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박대령의 행동은 사적이익 추구나 불법 목적 실현 등이 아니기 때문에 향후 재판은 어떻게 진행될 것 같은가?”라고 꼬리를 무는 질문을 다시 해봤습니다.

꼬리에 꼬리를 무는 방식으로 챗GPT에게 좀 더 구체적이고 논리적인 질문을 지속해 나가면 뉴스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 나갈 수 있습니다.
이 같은 방식은 뉴스를 분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상에 일어나는 이슈를 이해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