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에 갈땐 모바일 건강보험증
병원가 서 내돈 내고 진료 받지 않으려면 신분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꼭 챙겨가야 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스마트 폰에 다운 받아 설치하고 병원 가는 게 두고두고 편리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신분증 중 아무 것도 없이 병원 가서 진료 받으면 건강보험 적용을 받지 못해 전액 본인부담으로 진료비를 내야 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신분증 없이는 다녀도 휴대폰은 모두 가지고 다니니까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스마트폰에 설치해서 병원 가는 것이 가장 편합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다른 사람의 건강보험을 자격을 도용해 진료 받는 부정 수급 사례를 방지하기 위해 지난 5월 20일 부터 시행 하면서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요양기관 본인확인 강화 제도’를 도입하면서 이렇게 규정이 강화 됐습니다.

1. 모바일 건강보험증 발급 방법

발급 받은 모바일 건강보험증 QR코드를 병원 접수 창구에 제시하면 신분증 대신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구글플레이스토어 or 앱스토어에 들어가서 “건강보험증”을 검색합니다.
  2. “건강보험증 앱” 을 설치합니다.
  3. 실행 후 개인 선택
  4. 언어(한국어) 선택
  5. 휴대폰 또는 금융인증서로 본인 인증
  6. 비밀번호 설정
  7. 생체인증(지문, 얼굴 등) 로그인 추가(선택)

스마트폰에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설치해 두면 병원을 갈 때마다 매번 신분증을 챙기는 수고로움을 덜 수 있어 편리하니 한번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바일 건강보험증
모바일 건강보험증

스마트폰 내에서 모바일건강보험증 보안 강화를 위해 화면캡처가 않됩니다.

위 오른쪽 이미지의 아래 중앙에 보이는 “QR제출” 메뉴를 터치하면 QR코드가 생성됩니다.

생성된 QR코드를 병원 접수처에 보여주기만 하면 완료!!!!

2. 사용 가능 한 신분증 종류

 신분증에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건강보험증, 여권, 국가보훈등록증, 장애인등록증, 외국인등록증, 영주증이 해당됩니다.

하지만 신분증 사본은 인정되지 않는다는 점인데요. 사진으로 찍거나 캡처 한 것이 아닌 실물이 있어야 합니다.

이 밖에도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디지털 원패스, 간편인증 등 전자서명 인증서나 통신사 및 신용카드사, 은행 등 본인 확인 서비스로 본인 확인이 가능하다고 합니다만

모바일 건강보험증이 소지하기 간단하고 제일 편합니다.

3. 모바일 건강보험증 이나 신분증 미지참시 불이익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고도 진료를 받을 순 있지만, 본인 확인이 되지 않으면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의 진료비 부담이 크게 늘어나게 됩니다.

​이런 경우가 생기게 되면 영수증을 잘 챙겨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14일 이내 신분증과 진료비 영수증 등 기타 요양 기관이 요구한 서류를 지참하여 병원에 제출하면 건강보험이 적용된 금액으로 정산 되어 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만

이래 저런 귀찮은 일 하지 마시고 모바일 건강보험증을 스마트폰에 설치하시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4. 모바일 건강보험증이나 신분증 지참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

19살 미만은 기존처럼 주민등록번호만 알려주어도 진료가 가능하고요. 

자신이 본인 확인을 했던 병원이라면 6개월 이내에 본인 확인이 제외됩니다.

또 응급환자, 거동 불편자, 중증장애인, 장기요양자, 임산부 등은 신분 확인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